맨위로가기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는 대한민국과 미국 간의 외교 관계를 대표하며, 양국 간의 우호 증진, 경제 협력, 한반도 문제 해결 등 국익을 위해 활동한다. 1887년 조선의 박정양이 초대 대사로 임명되었으나 청나라의 반대로 부임하지 못했고, 이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기에는 김규식, 이승만 등이 활동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장면을 시작으로 28명의 대사가 임명되었으며, 역대 대사 중에는 정치, 경제, 외교 분야에서 경력이 풍부한 인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미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재외 공관 -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 재외공관으로 캘리포니아주 남부,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를 관할하며, 한국계 주민들의 영사 업무 지원과 더불어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로스앤젤레스 한국교육원을 통해 한국 문화와 교육을 홍보한다.
  • 대한민국의 재외 공관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미국에 주재하며,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외교 관계를 맺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사를 파견했으며, 현재 워싱턴 D.C.에 위치하여 9개의 총영사관 등을 운영하며 바하마를 겸임한다.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 판문점 선언
    판문점 선언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명한 합의문으로, 한반도 비핵화, 종전 선언 및 평화협정 추진, 남북 관계 개선, 군사적 긴장 완화 등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사항에 합의한 문서이다.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
기본 정보
직책주미국 대한민국 대사
원어 명칭주 미합중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로마자 표기Ju Mihapgungnyuk Daehanminguk Teukmyeongjeongweondaesa
대한민국 국장
대한민국 국장
소속 부처외교부
스타일각하 (외교)
임명권자대통령
임기정해진 임기 없음
소재지2450 Massachusetts Avenue, N.W. 워싱턴 D.C.
최초 임명장면
직책 시작1949년 2월 2일
웹사이트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현직 대사
현직 대사조현동
임명일2023년 4월 14일
보고 대상외교부 장관

2. 역대 대사

조선 말기인 1887년 박정양이 초대 주미 전권공사로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기에는 구미위원부를 통해 미국과의 외교 활동 및 독립운동 지원이 이루어졌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장면이 초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로 공식 임명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역대 주미 대사는 한미 관계 발전과 대한민국의 국익 증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각 정부의 외교 정책 방향을 반영하는 인물들이 임명되었다. 상세한 역대 대사 명단과 주요 활동 내역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조선-대한제국 (1887년 - 1889년)

박정양 대사(1889년)


1887년 조선의 초대 주미 대사로 박정양(朴定陽)이 임명되었다. 그는 한 달간 부임 준비를 하였으나, 당시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려던 청나라의 반발로 인해 부임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박정양은 그해 말 청나라의 방해를 피해 비밀리에 미국으로 출국하여 미국 대통령을 예방하고 공식적으로 임기를 시작하였다. 이후 약 2년간 미국에서 외교 활동을 펼치며 조선의 자주적인 외교 관계 수립을 위해 노력하였고, 1889년에 귀국하였다.

2. 2. 대한민국 임시 정부 (1919년 - 1948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기에는 미국과의 외교 및 독립 운동 지원 활동을 위해 구미위원부가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초대 위원장은 김규식이었으며, 이후 이승만이 장기간 위원장직을 맡아 재미 한인 사회의 독립운동 지원을 이끌었다.

아래는 역대 구미위원부 위원장 명단이다.

순번이름재임 기간비고
1김규식1919년 8월 - 1919년 9월구미위원부 위원장
2이승만1919년 9월 - 1921년 4월 18일구미위원부 위원장
-서재필1921년 4월 18일 - 1921년 6월 28일구미위원부 위원장 (임시)
3이승만1921년 6월 29일 - 1928년구미위원부 위원장
4이승만1928년 - 1945년 10월 2일구미위원부 위원장
5임병직1945년 10월 2일 - 1948년 10월구미위원부 위원장, 구미위원부 해체



이승만은 여러 차례에 걸쳐 장기간 구미위원부 위원장으로 재임하며 미국 내 한인 사회 결집과 독립운동 자금 모금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미 외교 활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서재필은 이승만의 부재 시 임시로 위원장직을 맡았으며, 해방 이후에는 임병직이 위원장직을 이어받아 활동하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구미위원부는 해체되었다.

2. 3. 대한민국 (1949년 - 현재)

장면 대사(1951년)


한승주 대사 (2003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초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로 장면이 임명되었다. 그는 1949년 2월부터 1951년 2월까지 공식적인 제1대 대사로 활동했다. 이후 현재까지 총 28명의 대사가 임명되어 한미 동맹 강화, 경제 협력 증진, 한반도 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한민국의 국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역대 주미 대사 중에는 이승만 정부 시기 양유찬, 박정희 정부 시기 정일권, 김동조, 김대중 정부 시기 이홍구, 노무현 정부 시기 한승주, 이명박 정부 시기 한덕수 등 정치, 경제, 외교 분야에서 중요한 경력을 쌓은 인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노무현 정부 때는 언론계 인사인 홍석현중앙일보 회장이 대사로 임명되어 관심을 모았으나, 과거 국가안전기획부의 불법 도청 내용을 담은 이른바 '안기부 X파일'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 끝에 임명 7개월 만에 사퇴하였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학계 출신인 조윤제 서강대학교 명예교수와 외교관 출신인 이수혁민주당 국회의원이 차례로 임명되어 한미 관계 발전에 기여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이 임명되었으나 임기 중 국가정보원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후임으로 조현동 전 외교부 제1차관이 임명되어 현재 활동 중이다.

역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의 전체 명단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3. 1. 역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 명단

대수이름사진임기임명자
임시장면(張勉)
1949년 1월 - 1949년 2월이승만
제1대장면(張勉)--1949년 2월 - 1951년 2월
임시한표욱(韓豹頊)1951년 2월 - 1951년 4월
제2대양유찬(梁裕燦)
1951년 4월 - 1960년 4월 29일
제3대정일권(丁一權)
1960년 6월 8일 - 1960년 10월윤보선
제4대장이욱(張利郁)1960년 10월 - 1961년 6월
제5대정일권(丁一權)--1961년 6월 - 1963년 4월박정희
제6대김정렬(金貞烈)
1963년 5월 - 1964년 10월
제7대김현철 (金顯哲)
1964년 12월 - 1967년 10월
제8대김동조(金東祚)1967년 10월 - 1973년 12월
제9대함병춘(咸秉春)1973년 12월 - 1977년 4월
제10대김용식(金溶植)1977년 4월 - 1981년 6월
제11대류병현(柳炳賢)1981년 7월 - 1985년 11월전두환
제12대김경원(金瓊元)1985년 11월 - 1988년 4월
제13대박동진(朴東鎭)1988년 4월 - 1991년 3월노태우
제14대현홍주(玄鴻柱)1991년 3월 - 1993년 4월
제15대한승수(韓昇洙)
1993년 4월 - 1994년 12월김영삼
제16대박건우(朴健雨)1995년 1월 - 1998년 4월
제17대이홍구(李洪九)
1998년 5월 - 2000년 8월김대중
제18대양성철(梁性喆)2000년 8월 - 2003년 4월
제19대한승주(韓昇洲)
2003년 4월 - 2005년 2월노무현
제20대홍석현(洪錫炫)2005년 2월 - 2005년 9월
제21대이태식(李泰植)2005년 10월 - 2009년 2월
제22대한덕수(韓悳洙)
2009년 2월 - 2012년 2월이명박
제23대최영진(崔英鎭)2012년 2월 - 2013년 5월
제24대안호영(安豪榮)
2013년 6월 - 2017년 10월박근혜
제25대조윤제(趙潤濟)
2017년 10월 - 2019년 10월문재인
제26대이수혁(李秀赫)2019년 10월 - 2022년 6월 10일
제27대조태용(趙太庸)
2022년 6월 11일 - 2023년 3월 29일윤석열
직무대리김준구2023년 3월 29일 - 2023년 4월 13일
제28대조현동(趙賢東)2023년 4월 14일 - 현직


참조

[1] 웹사이트 http://usa.mofa.go.k[...] 2017-12-20
[2] 웹사이트 Diplomatic Representation for South Korea https://2001-2009.st[...] Office of the Chief of Protocol 2013-06-07
[3] 웹사이트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http://overseas.mof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